윈도우10 가상메모리 설정 방법

가상메모리라고 컴퓨터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한번쯤 들어보셨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. 예전 컴퓨터인 경우에는 각각의 PC 부품 가격도 비쌀뿐더러 그 가격에 비해서 용량도 작고, 지금처럼 보편화되어 사용하는 SSD 하드디스크가 아닌 일반 하드를 많이 사용을 했답니다. 

하지만 지금은 메모리 용량도 기본 8GB 이상으로 더 큰 용량으로 사용을 하게 되면서 빠른 속도를 즐기는 분들이 많이 생기셨을텐데요. 특히나 SSD를 사용하신다면 굳이 가상메모리를 설정하지 않으셔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.

윈도우10 가상메모리 설정 방법

오히려 성능에서 독이 될 수 있는 가상메모리를 비활성화 하는 방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. 체감상으로 확! 느껴질지는 잘 모르겠지만 하드 용량도 좀 아낄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하셔서 설정을 변경해서 사용하시면 좋을 듯 해서 준비하게 되었습니다.

제어판에서 설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다들 바탕화면에 내PC는 꺼내놓고 쓰실텐데요. 바로 오른쪽 마우스버튼을 클릭하신 다음 속성(R)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

제어판 > 시스템 및 보안 > 시스템 순으로 확인을 하셔도 됩니다.

좌측에 위치한 메뉴를 통해서 고급 시스템 설정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

시스템속성 창을 통해서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상단메뉴탭 중에서 고급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 

성능, 사용자 프로필, 시작 및 복구에 대한 설정변경을 할 수 있습니다. 이 중에서 시각 효과, 프로세서 일정, 메모리 사용 및 가상 메모리에 대한 설정을 통해서 변경을 하시면 됩니다.

성능옵션을 통해서 고급>가상메모리 변경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

별도로 변경을 하지 않으셨다면 기본적으로는 모든 드라이브에 대한 페이징 파일 크기 자동 관리라는 부분에 설정이 되어있을텐데요. 이 부분을 해제를 먼저 해주시면 됩니다.

그 다음에 페이징 파일 없음을 선택하시고 설정 확인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

그럼 설정으로 인한 오류경고창이 뜨게 되는데요. 이 상태에서도 무시! 예를 눌러주시면 설정끝~이 납니다. SSD 가상메모리로 설정 후에 사용하게 되면 10년, 20년만큼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는 컴퓨터 부품은 아니겠지만 그만큼의 수명 단축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최적화 하셔서 사용하셨으면 합니다.

이 글을 공유하기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